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전선 식별 및 색상 규정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 는 전선의 식별 및 색상 규정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은 전기 설비의 안전과 효율성을 보장하며, 전기 작업자들에게 올바른 기준을 제공합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에 따른 전선 색상 규정
전선의 역할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지정하여 전선 식별을 용이하게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색상 | 기존 | 신규 |
상선L1 | 검정 | 갈색상선 |
상선L2 | 빨강 | 검정 |
상선 L3 | 파랑 | 회색 |
중선선N | 회색 | 파랑 |
접지/보호도체(PE) | 녹색 또는 녹황교차 | 녹황교차 |
접지선 (Protective Earth, PE):
색상: 녹색/노란색 (Green/Yellow)
용도: 안전을 위한 접지 역할을 하며, 누설 전류를 땅으로 전달하여 설비와 사용자를 보호합니다.
중성선 (Neutral, N):
색상: 청색 (Blue)
용도: 전기 회로의 균형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역할을 합니다.
활선 (Live or Phase Conductors, L):
색상:
단상 회로: 갈색 (Brown)
삼상 회로: 갈색(Brown), 흑색(Black), 회색(Grey)
용도: 전원을 공급하며, 전류가 흐르는 전선으로, 다상 회로에서 각 위상을 구분하기 위한 색상 규정이 적용됩니다.
기타사항 KS C IEC 60445참조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 에 따른 전선 식별 및 색상 규정의 중요성
작업 안전성 강화: 전선 색상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각 전선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중 오류를 방지하고 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효율화: 명확한 색상 코드는 설비 점검과 유지보수를 쉽게 만들어 전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 에 따른 전선 식별 및 색상 규정의 필요성
전선 색상 규정을 준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법적 책임 준수: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 는 전기 설비 작업에서 반드시 따라야 하는 의무 사항입니다.
안전한 작업 환경 보장: 명확한 색상 코드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표준화된 설비 구성: 규정을 준수하면 전기 설비의 표준화와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1.2) 에 따라 정의된 전선 색상은 전기 설비의 안전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후 선간전압과 상전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번개맨 도전(초보 전기쟁이) > 전기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기용변류기(C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0) | 2025.03.08 |
---|---|
AC(교류)와 DC(직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0) | 2025.03.01 |
전기의 기초 옴의법칙 이것만 알고 시작하자! (0) | 2025.02.15 |
재폐로(Reclosing)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해보자. (0) | 2025.02.13 |
3상 4선식 결선하는 방법 알아보자. (0) | 2025.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