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개맨 도전(초보 전기쟁이)/전기공부

재폐로(Reclosing)에 대해서 알기 쉽게 정리해보자.

by 서진아빵 2025. 2. 13.
반응형

🔥 재폐로(Reclosing)와 영구적 고장 판별 방법 완벽 정리! 🔥

전력 시스템에서 재폐로(Reclosing), 리클로징 블락(Reclosing Block),

영구적 고장, 일시적 고장개념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폐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전력 시스템에서 고장이 영구적인지 자동으로 판별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1. 재폐로(Reclosing)란?

재폐로(再閉路, Reclosing)는 전력계통에서 고장 발생 후 차단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폐로(닫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즉, 일시적인 고장(Temporary Fault)이 해소된 후 자동으로 전력을 복구하는 과정으로,

송전 및 배전선에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보호 기법 중 하나이다.

 

👉 전력선이 일시적으로 단락(고장)되었다가 다시 자동으로 전기를 투입하는 기능

낙뢰, 나뭇가지 접촉, 동물 접촉 같은 일시적인 고장(Temporary Fault) 발생 시 차단기가 동작하여 전기를 끊음

하지만 이런 고장은 대부분 순간적이라 몇 초 후 다시 전기를 넣으면 정상적으로 복구됨

이런 상황에서 자동으로 차단기를 닫아(폐로) 다시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이 "재폐로(Reclosing)"

✅ 예시

비가 오는 날 전봇대에 나뭇가지가 닿아서 순간적으로 단락됨

→ 차단기가 열림(전기 차단)

→ 몇 초 후 나뭇가지가 떨어짐

→ 자동으로 차단기를 닫아서(재폐로) 전기를 다시 공급!

🔹 2. 고장이 영구적인지 자동으로 판별하는 방법

👉 "재폐로를 시도해보고, 고장이 없어지면 일시적 고장, 계속 지속되면 영구적 고장으로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아이디어

  1. 일시적 고장이라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짐
  2. 영구적 고장이라면, 재폐로를 해도 고장이 계속됨
  3. 재폐로 계전기가 고장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여 "영구적 고장"인지 판단

 

🔹 3. 재폐로 판별 과정

✅ 일시적 고장(Temporary Fault) 판별 과정

🌩️ 낙뢰로 순간적인 단락 발생 (일시적 고장)

✅ 재폐로 시도 → 정상 복구됨 → 일시적 고장으로 판단

📌 과정

  1. 낙뢰로 인해 전선에 순간적으로 과전류 발생
  2. 과전류 계전기(OCR)가 이를 감지하고 차단기를 열음
  3. 재폐로 계전기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차단기를 다시 닫음 (재폐로 시도)
  4. 고장이 사라짐 → 정상적으로 전력 공급 재개
  5. 일시적 고장(Temporary Fault)으로 판단

👉 결과: 재폐로 성공! 정상 복구 완료 ✅

✅ 영구적 고장(Permanent Fault) 판별 과정

 

🔥 전선이 끊어짐 (영구적 고장)

🚫 재폐로 시도 → 고장이 지속됨 → 영구적 고장으로 판단

📌 과정

  1. 강풍으로 인해 송전선이 끊어짐
  2. 과전류 계전기(OCR)가 고장을 감지하고 차단기를 열음
  3. 재폐로 계전기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차단기를 다시 닫음 (재폐로 시도)
  4. 전선이 끊어졌기 때문에 고장이 지속됨
  5. 차단기가 다시 열리고 리클로징 블락(Reclosing Block) 기능이 동작
  6. 영구적 고장(Permanent Fault)으로 판별됨 → 수리팀 출동 필요

👉 결과: 재폐로 실패! 영구적 고장으로 판별 ❌

 

🔹 4. 재폐로 시도 횟수 설정

👉 한 번의 재폐로로 바로 영구적 고장인지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보통 2~3번 정도 재폐로를 시도한 후 결정합니다.

📌 실제 전력 설비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설정이 사용됩니다.

  • 1회 재폐로 시도 후 성공하면 → 일시적 고장
  • 1회 재폐로 후 다시 고장 → 2회 재폐로 시도
  • 2~3회 재폐로 시도 후에도 계속 고장이 지속되면 → 영구적 고장으로 판단 & 리클로징 블락 적

🔹 5. 영구적 고장 판별 후, 다음 단계는?

  • 운영센터(SCADA 시스템)가 고장 발생 지점과 지속 여부를 확인
  • 리클로징 블락이 동작하면 수리팀(한전 또는 변전소 팀)이 출동
  • 전선이 끊어졌다면 수리 후 다시 전력 복구
  • 정상 복구 후 차단기를 다시 닫고 재가동

🔹 6. 리클로징 블락(Reclosing Block)

👉 재폐로 기능을 차단하는 기능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재폐로를 하면 안 되는 경우가 있음.

예를 들면, 보호 계전기가 영구적인 고장(전선 끊어짐, 기기 파손 등)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재폐로를 시도하면 더 큰 사고가 날 수도 있음.

이럴 때 "리클로징 블락" 기능이 작동해서 재폐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막음.

✅ 예시:

변압기가 고장 났는데 재폐로를 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리클로징 블락 동작

지락(전선이 땅에 닿는 고장) 시 특정 조건에서 재폐로를 하면 안 됨 → 리클로징 블락 적용

 

🔹 7. 고장의 종류 

👉 전력선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고장 유형

전력 시스템에서 고장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일시적인 고장인지, 영구적인 고장인지에 따라 재폐로 여부가 결정돼.

✅ 고장 유형 정리

일시적 고장 (Temporary Fault)낙뢰, 나뭇가지 접촉 등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고장✅ 재폐로 가능

영구적 고장 (Permanent Fault)전선 단선, 철탑 붕괴 등 복구가 필요한 고장❌ 재폐로 불가능

 

📌 재폐로는 **일시적 고장(Temporary Fault)**에서만 유효해!

예를 들어 낙뢰로 인한 순간적인 단락은 몇 초 후 다시 투입하면 정상 작동하지만,

전선이 끊어진 경우에는 재폐로하면 안된다.

 

❗❗❗ 결론

  • 재폐로를 시도해보고 정상 복구되면 일시적 고장, 고장이 지속되면 영구적 고장으로 판단
  • 일시적 고장은 자동으로 전력 복구되지만, 영구적 고장은 수리 작업이 필요
  • 재폐로 계전기가 여러 번 시도 후 실패하면 리클로징 블락이 동작하여 영구적 고장을 확정

👨오늘은 재폐로(recloesing) 리클로징 블락(Reclosing Block)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전기에 대한 공부 내용을 계속 올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